얼핏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이러한 용어들을 명확히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.
Webpage
Firefox, 구글 크롬, 오페라, MS 익스플로러나 엣지, 애플의 Safari 같은 웹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단순 문서이다. HTML로 쓰여진다. 이렇게 쓰여진 하나의 문서를 페이지라고 한다.
Website
다양한 방식으로 그룹으로 묶이거나 연결된 웹 페이지들의 모음이다. 페이지들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 웹사이트이다. 각각의 웹사이트에서 다른 링크가 주어진 다른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.
Web Server
인터넷에 웹사이트를 호스팅하게 해주는 컴퓨터이다.
호스팅이란?
제공자 등의 사업자가 주로 개인 홈페이지의 서버 기능을 대행하는 것을 의미한다. 즉 서버의 일부 혹은 전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주는 서비스을 일컫는다.
호스팅에는 웹 호스팅, 서버 호스팅,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이 있으며 이들은 웹, 서버 관리,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.
호스팅의 종류
- 웹 호스팅 : 하나의 서버 장비를 여러 명이 공유하여 사용한다.
- 가격이 저렴하고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.
- 트래픽이 많지 않은 기업 사이트나 개인 사이트에 사용된다.
- 서버 호스팅: 한 명의 고객이 하나의 서버장비를 임대하는 호스팅.
- 가격이 비싼 대신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다.
- 서버의 단독사용으로 설치나 삭제 등 개발이 자유롭다
- 클라우드 호스팅: 물리적 서버가 아닌 가상의 서버를 임대한다.
- 자유롭게 서버 스펙을 조절할 수 있고 이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.
- 쇼핑몰 호스팅: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제작 및 운영할 수 있도록 서버 공간과 쇼핑몰 프로그램 및 결제 시스템 등 쇼핑몰에 필요한 일련의 요소들을 제공한다.
- 메일 호스팅: 사용자가 도메인을 직접 구매하고 해당 도메인과 연결하여 이메일을 만들어 제공한다.
웹 서버에 대해서
웹 서버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또는 두 개가 같이 동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.
하드웨어의 측면에서 웹 서버의 소프트웨어와 웹사이트의 컴포넌트 파일들(HTML,CSS,JS 등)을 저장하는 컴퓨터 웹에 연결된 기기들이 이런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든다
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HTTP 서버를 의미한다. 웹 사용자가 호스트파일에 접근하는 방식을 관리한다. HTTP서버는 URL(웹 주소)과 HTTP(프로토콜)의 소프트웨어 일부이다.
웹 서버의 동작 방식
브라우저가 웹 서버에서 불러와진 파일이 필요하면 HTTP를 통해 파일을 요청한다. 요청이 올바르다면 HTTP 서버는 요청된 문서를 HTTP를 이요해 보내준다.

웹 사이트를 공개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정적 혹은 동적 웹 서버가 필요하다.
정적이란? 있는 그대로 제공되는 것
정적 웹 서버 HTTP 서버가 있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. 서버가 불려진 파일을 전송할 때 정적인 웹 서버라고 말한다.
동적이란? 서버가 컨텐츠를 처리(생성 포함)하는 것.
동적 웹 서버 정적 웹 서버 + 추가적인 소프트웨어(데이터베이스 등)로 구성되어 있다.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HTTP 서버를 통해 브라우저에게 불려진 파일들을 전송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이를 동적이라고 말한다.
이렇게 웹 서버가 있고 호스팅 파일들이 있다면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다.
호스팅 파일 HTML로 이루어진 웹 사이트 파일들, 이미지, CSS Stylesheet, JS, 파일 등을 포함한다.
HTTP는 두 컴퓨터간의 hypertext를 어떻게 전송하는지 서술한다.
HTTP의 특성 Textual: 모든 명령들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명렁어이다.(HTTP/2 이후 X) Stateless: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는 이전의 통신을 기억하지 않는다. 이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하다.
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(URL 파일 제공)을 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에 응답한다.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무조건 URL 파일을 제공해야 하고, 웹 서버는 모든 HTTP 요청에 에러를 포함해서 응답해야 한다.
이렇게 웹 서버에서 HTTP 요청이 들어오면 HTTP 서버는
요청받은 URL이 존재하는 파일과 매칭이 되는지 확인 -> 매칭되는 파일 내용을 되돌려 주고, 그렇지 않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필요한 파일 구축 -> 전 과정이 실패하면 에러 반환
의 과정을 거친다.
검색 엔진
구글, 빙, 야후 같은 다른 웹 페이지들을 찾게 도와주는 웹사이트이다. 크롤러를 통해 웹의 정보를 긁어와서 검색에 뜨도록 만들어준다. 사실상 검색 엔진 자체는 프로그램이지만 웹사이트를 지칭하는 단어로 거의 혼용해서 쓴다.
참고문헌
https://velog.io/@kathylee/07-What-is-hosting%ED%98%B8%EC%8A%A4%ED%8C%85%EC%9D%B4%EB%9E%80-%EB%AC%B4%EC%97%87%EC%9D%B8%EA%B0%80 https://m.blog.naver.com/lhhoo1717/221365274221 https://m.blog.naver.com/gowori/221491556923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Learn/Common_questions/Web_mechanics/What_is_a_web_serv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