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IP 주소의 클래스 A는 왜 1부터 126까지 있을까? //
- 127의 경우, 루프백 주소로 예약되어 있기 때문
- 0의 경우는 지정된 주소 없음. 지정되지 않은 주소를 의미하는 주소.
-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이유? //
-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
- 호스트 부분과 네트워크 부분을 분리하기 위함
- 클래스로만 나누게 되면, 8비트로 가지는 갯수의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중간 네트워크를 만들어 효율적으로 분리
-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차이점 //
-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경우 라우터를 통해 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나 다른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 사용되며,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다
-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경우 LAN 네트워크 연결로, 로컬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.
- IP주소는 왜 2^n - 2 일까? //
- 호스트 부분이 모두 0으로 되어있으면 네트워크 자체를 의미하고, 1로 모두 이루어져 있을 경우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두 IP 주소는 제외하고 구별한다.
- 각IP 클래스의 맨 앞에 붙는 비트 //
| 클래스 | 앞 비트 패턴 | 첫 번째 옥텟 범위 | 이진수 예시 | 용도 |
|---|
| A | 0 | 0 - 127 | 0xxxxxxx | 대규모 네트워크 |
| B | 10 | 128 - 191 | 10xxxxxx | 중간 규모 네트워크 |
| C | 110 | 192 - 223 | 110xxxxx | 소규모 네트워크 |
| D | 1110 | 224 - 239 | 1110xxxx | 멀티캐스트 |
| E | 11110 | 240 - 255 | 11110xxx | 실험용/예약 |
- 서브네팅이란 뭔지, 왜 하는지 //
- 서브네팅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로, 효율적인 IP주소 사용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, 네트워크 관리 용이성 등의 이유로 사용함
- ping과 trace의 차이 //
- ping은 RTT(왕복시간) 측정용
- trace는 목적지까지 내가 어떻게 가는지 경로를 모두 추적함
- unix 운영체제에서는 traceroute
- 서브넷끼리 통신이 가능할까? //
- 서브넷은 다른 네트워크로 간주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불가능함.
- 하지만 한 장비에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나, 같은 물리적 세그먼트에 연결된 경우, 터널링을 통한 우회 통신 등의 방법을 통해서 통신을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
- 서브넷당 호스트가 7개 이상이 되어야 하면 호스트 비트를 몇개로 가져가는게 가장 베스트일까? //
- 호스트비트를 4개 가져가면 16 - 2 = 14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3개가 적당함.
- 서브네팅을 하면 콜리전 도메인의 크기를 작게 나눌 수 있을까?
- 안됨. 서로 직접적인 영향이 없음
- 콜리전 도메인의 경우 레이어 1/2지만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경우 레이어3의 영역임
- 서브네팅은 이 레이어 3의 영역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, 콜리전 도메인과는 연관이 없음
-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기 위해서는 스위치/브릿지를 사용하여 이더넷 네트워크를 나눠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