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리기 스케줄링의 유형
처리기 스케줄링의 목적 응답시간이나 처리량,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처리기가 다음에 실행할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것

| 유형 | 설명 |
|---|---|
| 장기(long-term) | 프로세스가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 → 새로운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|
| 중기(medium-term) | 프로세스 이미지 전부 혹은 일부가 주 메모리에 올라올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 → 스와핑(swapping)할 때 |
| 단기(short-term) | CPU에 의해 실행될 다음번 프로세스로 어떤 프로세스를 선택할지를 결정 → 다음에 실행할 프로세스를 선택할 때 |
| 입출력(I/O) | 대기 중인 입출력 요구 중 해당 입출력 장치가 다음번에 어떤 요구를 처리할지를 결정 |
단기 스케줄링++
- 디스패처(Dispatcher)라고도 불림
- 장기, 중기 스케줄러보다 매우 자주 실행되면서 세밀한 기준으로 다음번에 실행시킬 프로세스 선정
- 단기 스케줄러 호출 →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자발적으로 CPU를 놓거나 시간할당량이 소진되어 CPU를 뺏기는 경우 호출
- 클록(타이머) 인터럽트
- 입출력 인터럽트
- 운영체제 시스템 호출
- 신호(signal) - 세마포어 등